도심 속 만초천 찾기:오토마타 만들기 2월 예약 안내 (1~3학년 대상)
- 자원분류
- 체험·대회
- 관리기관
- 서울특별시
- 사용가능여부
- 사용불가
- 무료여부
- 무료
- 주소
-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7(한강로3가) 용산센트럴파크 해링턴스퀘어 공공시설동 1,2층
용산구
- 정보수정일
- 2025-02-14
- 자원소개
- [서울시 용산공원 시민소통공간 프로그램]
도심 속 만초천 찾기:오토마타 만들기(1~3학년 대상)
■ 개요
- 일 정: 2월 1일 ~ 2월 22일 (매주 토요일)
- 시 간: 14:00 ~ 16:00 (2시간)
- 장 소: 용산도시기억전시관 2층 세미나실 (용산구 서빙고로 17 용산센트럴파크 해링턴스퀘어 공공시설동)
- 대 상: 초등학생 1~3학년
- 정 원: 12명(회차당 최대 2명 예약 가능)
- 비 용: 무료
- 접수방법: 인터넷, 모바일
- 접수기간: 2025.1.15.(오후 2시) ~ 2.14.(오후 1시)
- 취소기간: 접수종료일 마감시한까지
- 선별방법: 추첨
※ 추첨 결과는 참여일 8일전, 오후 2시 당첨자에 한해 문자로 안내드립니다.
※ 취소자 발생시, 추가 모집을 위해 개별 연락드리고 있습니다. 부재중 시 다음 대기자로 넘어가오니, 양해부탁드립니다.
※ 당첨자는 취소 연락 없이 당일 노쇼 시 패널티가 부여됩니다. (이후 프로그램 당첨시 참여가 제한될 수 있음)
- 문의전화: 02-3785-2590(10:00 ~ 18:30 / 일요일, 월요일, 공휴일 제외)
■ 상세정보만초천은 인왕산에서 물줄기가 시작되어 서대문사거리 · 서울역 · 서부역 · 청파로 · 원효로를 따라 한강으로 흐르는 7.7㎞ 길이의 하천입니다.
오늘날 용산 내 흐르던 만초천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
그 이유는 1960년대 서울의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만초천을 복개하고 그 위에 도로를 개통했기 때문입니다.
그러나 용산 미군기지는 외국군이 오랫동안 주둔하면서 도시 개발을 하지 못했기에 기지 내 복개되지 않은 상태의 만초천 지류가 300m 남아있습니다.
용산공원 시민참여 프로그램 <도심 속 만초천 찾기>는 만초천이 시대에 따라 변하는 모습을 알아보고
오토마타를 통해 미래의 용산공원 내 만초천을 상상해보는 프로그램입니다.앞으로 용산 미군기지가 공원으로 조성되면 ‘만초천’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돌아올까요?
용산기지 내 남아있는 옛 만초천 지류가 용산공원과 어떻게 어우러질지 상상해봅시다.
■ <도심 속 만초천 찾기 > 프로그램 구성
- 프로그램은 모든 회차가 동일하며, 총 2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단계 구성 주요 내용 장소 1 역사 이해하기 (20분) 만초천 역사 이해하기
용산도시기억전시관
2층 세미나실2 오토마타 만들기 (80분) 오토마타 만드는 방법 이해하기 (10분) 만초천 오토마타 만들기 (70분)
- 키트에 동봉된 오토마타를 색칠한다.
- 부속품을 뜯어 조립한다.
- 완성된 오토마타를 꾸며 나만의 상상을 더한다.3 생각 나누기 (20분) 각자 만든 오토마타를 발표하며 다른 참가자와 생각 나누기
■ 문의 : 서울시 용산공원 시민소통공간
- Tel. 02-3785-2590 (10:00-18:30 / 일요일,월요일, 공휴일 제외)
- Email. yongsanpark_gallery@naver.com
- 주의사항
*주의사항*
- 프로그램은 모든 회차가 동일하며, 총 2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오시는길
-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7(한강로3가) 용산센트럴파크 해링턴스퀘어 공공시설동 1,2층
용산구